안녕하세요.
주말이 금방 지나간 느낌이 드는 하루입니다.
오늘은 웨딩홀 투어 후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지난 글에 이미 웨딩홀 투어 후기에 대해서 적긴 했지만, 웨딩홀 자체에 대한 리뷰는 안 했었기 때문에 이번 글은 직접 다녀온 웨딩홀 후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2024.07.06 - [결혼/결혼준비] - [결혼 준비-5] 웨딩홀 투어 방법(+예약 방법)
[결혼 준비-5] 웨딩홀 투어 방법(+예약 방법)
안녕하세요!지난 글에서는 웨딩 플래너를 고르는 방법에 대한 글을 썼었습니다. 2024.07.05 - [결혼/결혼준비] - [결혼 준비-4] 직접 검색해서 동행 웨딩 플래너 계약한 후기(+ 와이즈 웨딩, 직장인
southehdlf.tistory.com
그럼 시작해 볼까요?

레츠고~
오늘 소개할 곳은 상록아트홀입니다.
서울에서 핫한 예식장 중 하나죠.
아마 결혼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한 번씩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상록아트홀이 인기가 많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관료, 생화로 꾸며지는 인테리어, 맛있는 뷔페 그리고 마지막으로 독특한 디자인의 웨딩홀.
예식장을 한 번이라도 생각해 보셨다면 놓칠 수 없는 조건들일 텐데요.
지금부터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위치
상록아트홀은 지도에서 보시다시피 접근성이 아주 좋은 웨딩홀입니다.
좀 멀긴 하지만 9호선에서도 갈 수 있고요.
가깝게는 역삼역, 선릉역에서 갈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2호선에서 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상록아트홀에서 올린 약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보시면 상록아트홀에서도 선릉역에서 방문을 권하고 있습니다.
저는 당시에 9호선에서 갔었는데요.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고, 상대적으로 먼 거리라 그런지 조금 힘들었었습니다.
제가 차로 이동을 안 하고 직접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유는 하객의 입장에서 어떤지 바라보기 위함이었는데요.
되도록이면 2호선을 이용하시라고 청첩장에 안내를 해드릴 것 같습니다.
상록아트홀이 워낙 크다 보니 멀리에서도 상록 아트홀이 보입니다. 라이언이 서있는 건물입니다.
근데 가도 가도 가까워지지 않는 거리였어서 9호선에서 가기에는 너무 힘들었어요.
그래도 무사히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도착해서 입구 찾아 헤매었습니다.
겨우 겨우 도착해서 한 컷 남겼어요.
2. 버스 대절
다들 지방 하객 분들이 계신가요?
저희는 지방에서 오시는 하객분들이 많으셔서 지방하객 분들을 위한 대절차량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그래서 대절버스를 주차할 장소도 알아보았습니다.
상록아트홀 앞에 버스를 세울 주차장이 있었어요.
대로변이기는 해도 마을버스 정차하듯 정차한다고 보시면 이해가 빨리 될 것 같습니다.
제가 본 버스는 두 대인데 다른 버스들이 주차를 원하면 기사님들끼리 알아서 이동을 해주신다고 하셨습니다.
3. 로비
상록아트홀의 입구입니다.
건물 입구랑 구별이 안되어있어서 그냥 같은 입구를 이용하시면 돼요.
하객분들이 워낙 많으셔서 얼굴 좀 가리느라 힘들었습니다...
어쨌든 상록아트홀의 로비입니다.
굉장히 사람이 많죠?
상록아트홀은 웨딩홀이 총 두 개가 있기 때문에 하객이 1층에서 모두 모일 수 있는 구조입니다.
섞이지 않게 잘 안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4. 웨딩 액자 두는 곳
비싼 돈 주고 스튜디오 촬영을 했는데 하객들께 안 보여드리면 섭섭하죠?
그래서 스튜디오 촬영 때 찍은 액자를 올려두는 곳이 있습니다.
너무 예뻤어요.
엄청 화려하지 않아도 실제로 보면 너무나 예쁜 장식이었답니다.
5. 하객대기장소
하객대기 장소는 식이 진행되기 전이라서 제가 찍지 못했습니다.
다른 하객 분들이 모습을 찍고 다닐 수는 없으니까요ㅜㅜ
하지만 홀이 분리되어 있어서 하객분들이 대기 장소에서 섞이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대기 장소가 굉장히 넓고 쾌적했습니다.
사진이 없는 대신 상록아트홀에서 올려둔 동영상을 첨부해 드릴게요.
https://youtu.be/Nj08 PEYa2 L8? feature=shared&t=124
아마 클릭하셨을 때 보이는 장소가 바로 대기장소일 겁니다.
제가 타임라인으로 공유해 두었거든요.
동영상으로만 봐도 엄청 넓고 쾌적한 공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웨딩홀
그러면 이제 웨딩홀을 볼까요?
제일 궁금하셨을 텐데요.
일단 상록아트홀은 웨딩홀이 두 개가 있습니다.
각각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어요.
밝은 웨딩홀인 아트홀과 어두운 웨딩홀인 그랜드볼룸홀로 나뉘어있습니다.
보통 상록아트홀에 방문하는 계기가 그랜드볼룸일텐데요.
그런데 저는 직접 보니 아트홀도 너무 예쁘고 좋았었습니다.
물론 사진은 못 찍었지만, 홈페이지 사진이라도 대체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아트홀부터 보겠습니다.
유리창 너머에 있는 자연풍경은 계절별로 달라진다고 합니다.
하객이 앉는 자리는 동그란 테이블이긴 하지만 의자는 신랑신부가 있는 장소를 보고 배치가 되어있습니다.
이번에는 그랜드볼룸홀을 볼게요.
신랑신부가 식을 진행 중이었어서 모자이크가 많긴 하지만 분위기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꽃이 너무 예쁘죠?
식이 진행되는 중이었는데 너무 예뻐서 눈을 못 떼겠더라고요.
좌석은 넉넉해 보였고 위층 아래층으로 구별 돼서 모여 앉기 좋아 보였습니다.
사진으로 다 담기지 않는 아름다움이었어요.
하지만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사진과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훨씬 밝게 느껴진다는 점입니다.
참고하세요!
7. 신부대기실
결혼식의 꽃은 역시 신부님이죠?
신부님들이 앉아계시는 신부대기실이 있는데요.
먼저 사진을 보겠습니다.
아름다움 그 자체 아닌가요?
너무 넓으면 휑한 느낌이 드는데 이렇게 딱 필요한 여백만 남겨두어서 훨씬 따뜻해 보이는 공간이었습니다.
단점은 화장실이 내부에 없다는 것입니다.
신부대기실에서 화장실 이용을 안 한다, 한다로 의견이 갈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단 있는 게 더 좋잖아요?
상록아트홀은 화장실이 따로 떨어져 있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8. 뷔페
하객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밥!
상록아트홀의 식사 퀄리티는 이미 소문이 날 정도로 맛있다고 깔끔하다고 합니다.
뷔페식이고 자리도 엄청 넓습니다.
하객이 많아서 제가 사진을 찍지는 못했지만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사진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가 보니까 자리가 모자라서 못 앉을 일? 절대 없을 것 같습니다. 진짜 엄청 넓었습니다.
근데 예식장과 식사 층이 달라서 이동하는데 시간은 조금 걸릴 것 같았습니다.
9. 상록아트홀 최종 정리
제가 생각하는 장단점이니까 참고만 해주세요!
하나의 의견일 뿐이고 저의 취향이니까요.
최종 정리 | 장점 | 단점 |
신랑신부입장 | 홀이 예쁘다 대관료가 저렴하다(상대적) 신부대기실이 예쁘다 버스 대절하기가 좋다 꽃 장식이 예쁘다 액자 꾸미는 곳이 예쁘다 공무원 할인이 있다! |
홀과 식사장소의 거리가 멀다 신부대기실에 화장실이 없다 예식이 같은 날 6개가 진행되어 정신이 없을 수 있다 |
하객입장 | 밥이 맛있다 뷔페형식이라 오래 머무를 수 있다 많이 먹을 수 있다 강남이라 접근성이 나쁘지 않다 |
로비가 복잡하다 하객대기실이 시끄럽다 식사장소와의 거리가 멀다 역에서 거리가 있다 혼자 오면 뷔페에서 조금 난처할 것 같다 |
아 그리고 상록아트홀은 공무원 할인이 있으니까 공무원 분들은 꼭 확인해보세요!
제가 워낙 별거 아닌 걸로 따져봐서 그런지 불평도 많고 칭찬도 많았는데요.
저는 결과적으로 계약을 하지 않았습니다.
같은 날 예식이 너무 많이 진행되더라고요.

혹시 제가 적은 후기 외에도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아래 댓글에 남겨주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충분히 답변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4.07.18
오늘 친구하고 연락했더니 1년 2~3개월은 넉넉히 시간 잡고 가는게 좋다고 하네요!
모두 참고하시길!
그럼 이만!
'결혼 > 결혼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 준비-9] 결혼 준비 체크리스트(서울시 배포 자료 다운 받아가세요!) (0) | 2024.07.18 |
---|---|
[결혼 준비-8] 토브 헤세드 웨딩홀 투어 솔직 후기(긴 글 주의, 사진 多, 계약 여부) (0) | 2024.07.17 |
[결혼 준비-6] 공공예식장에 대해 알아보자! (하지만 나는 이용 안한 후기) (2) | 2024.07.11 |
[결혼 준비-5] 웨딩홀 투어 방법(+예약 방법) (0) | 2024.07.06 |
[결혼 준비-4] 직접 검색해서 동행 웨딩 플래너 계약한 후기(+ 와이즈 웨딩, 직장인 예비 부부라면 참고, 추천 이유) (6) | 2024.07.05 |
댓글